[IM3D] 3D프린터 주변기기_에어컴프레셔
Industrial safety Movement - Dedust, Degerm, Derisk
안녕하세요 아이엠쓰리디 IM3D 입니다.
오늘 소개 할 3D프린터 주변기기는 바로 에어컴프레셔 입니다.
일반적으로 제조 공장이라면 업종에 따라 다르겠지만
대부분 에어컴프레셔를 사용하고 계셔서 친근한 제품중에 하나입니다.
하지만 정말 다양한 제품들이 있어서 필요 용도에 맞게 선택하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산업용 3D 프린터를 사용하신다면 종류에 따라 필요 여부 또는 용도가 다르겠지만
3D프린터를 사용하신다면 대표 악세사리 중 하나가 바로 에어컴프레셔 입니다.
3D 프린터에 사용되는 에어컴프레셔는 공기의 질이나 압력에 따라 결과물에 영향이 있을수 있으므로
제품 선택시 사용하는 3D 프린터에 대한 이해도와 에어컴프레셔의 사양의 지식을
기반으로 가장 적합한 에어컴프레셔 조합을 만들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3D프린터 주변기기로 사용될 에어컴프레셔의 선택에는 전문가와의 상담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압축공기를 요구하는 3D프린터나 3D프린터의 주변기기들은 장비에서 요구하는
공기 품질의 기준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략적인 에어컴프레셔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장비에 필요한 공기의 품질(ISO 8573-1:2010) 확인
- ISO 8573-1은 압축공기의 품질을 정의하는 국제적 기준으로 [파티클 : 수분 : 오일]의 품질순(Class)으로 구분되며, 숫자가 낮을 수록 높은 품질의 의미합니다.
2. 필요마력 및 필요압력 확인
- 마력이 높을 수록 에어 생산량이 높아 에어탱크를 빨리 채워주며. 마력은 압을 채우는 시간을 정합니다.
3. 필요유량(Flow) 확인 - 필요유량의 30% 이상 여유 권장
- m3/h 또는 LPM(Liter per Minute)으로 구분됩니다. 환산식은 m3/h x 1000 / 60 = LPM
4. 에어탱크 용량 확인
- 탱크용량은 압축공기의 양을 정합니다. 에어탱크 용량이 작으면 에어가 금방 빠져나가 압력이 떨어지게됩니다.
IM3D의 에어컴프레셔는 상기와 같은 기준에 일일히 각 조건에 맞게 구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셋트 구성으로 준비되어 있습니다.
공기품질등급 [파티클 1등급 : 수분 2등급 : 오일 0등급]
① 에어컴프레셔 |
② AFTER FILTER |
③ FINAL FILTER |
모델 : SF 4+ FF 145 TM + CD |
모델 : DDp 10+ |
모델 : PDp 10+ |
오일프리 스크롤 |
타입 : Coalescing Filter |
타입 : Particular Filter |
모터 : 5 마력 (3.7kW) |
유량 : 316 LPM |
유량 : 316 LPM |
최대압력 : 10 bar |
입자 < 1 ㎛ (99.998%) |
입자 < 1 ㎛ (99.999%) |
유량 : 316 LPM |
< ㎛ (99.930%) |
< 0.01 ㎛ (99.995%) |
270리터 에어탱크 탑재 |
|
|
냉각식 + 흡착식 에어드라이어 탑재 |
|
|
프리필터 탑재 |
|
|
1. ISO 8573:1은 압축공기의 품질을 정의하는 국제적 기준입니다.
[파티클 : 물 : 오일]의 품질순으로 구분되며 숫자가 낮을수록 높은 품질을 의미합니다.
2. 대기상태는 1 bara, 20℃, 상대습도 0% 기준입니다.
에어컴프레셔
SF 4+ 145 TM
스펙 사항 |
|
타입 |
오일프리 스크롤 |
냉각 |
공냉식 |
모터파워 |
5 HP (3.7Kw) |
구동 |
벨트구동 |
전력 |
380V-3ph-60hz |
최대압력 |
10 bar |
유량*1, 2 |
316 LPM |
공기 품질 |
ISO 8573:1 [- : 2 : 0] |
소음 |
59 dB(A) |
규격 |
L 1120 x W 640 x H 1452 |
무게 |
244 kg |
커넥션 |
G 1/2 |
추가사항 |
에프터 쿨러, 270 리터 리시버 탱크, 냉각식 드라이어 + 프리필터 + 흡착식 에어드라이어 탑재 |
에어컴프레셔 확인사항
1. 컴프레셔 흡입조건은 1 bar, 20℃, RH 0% 기준입니다.
2. 컴프레셔 성능은 체적형 압축기 성능검사의 국제기준인 ISO 1217, Annex C 및 E, Edition 4 (2009)에 의거하여 측정한 값입니다.
3. ISO 8573-1은 압축공기 품질에 대한 국제적인 기준으로 압축공기 내 고형입자(Solid Particle) 수분, 유분의 함유량을 가지고 품질을 순서대로 Class로 정의합니다. Class가 낮을 수록 고품질을 의미합니다.
After Filter
DDp 10+
DDp 10+ 스펙사항 |
|
타입 |
파티클 에어 필터 |
여과물 |
건식 고형 입자 |
여과성능 |
1㎛ (>99.998%) |
0.01㎛ ( 99.930%) |
|
입자제거효율 |
99.92% at MPPS(0.1㎛)*1 (MPPS는 여과율이 가장 낮은 입자의 크기입니다.) |
테스트 조건 |
Particles 107 ~ 109/m3 |
수용력 |
316 LPM |
설계압력 |
최대 16 barg |
테스트 방법 |
ISO 8573-4:2010, ISO 12500-3:2009 |
압력강하(드라이) |
85 mbar |
필터엘리먼트 교체주기 |
4,000 구동시간 또는 1년 또는 350 mbar pressure drop |
외관재질 |
주물 알루미늄 하우징 |
악세사리 |
압력강하 표시기 |
커넥션 |
G 3/8" |
Final Filter
PDp 10+
PDp 10+ 스펙사항 |
|
타입 |
파티클 에어 필터 |
여과물 |
건식 고형 입자 |
여과성능 |
1㎛ (>99.999%) |
0.01㎛ ( 99.995%) |
|
입자제거효율 |
99.98% at MPPS(0.06㎛)*1 (MPPS는 여과율이 가장 낮은 입자의 크기입니다.) |
테스트 조건 |
Particles 107 ~ 109/m3 |
수용력 |
316 LPM |
설계압력 |
최대 16 barg |
테스트 방법 |
ISO 8573-4:2010, ISO 12500-3:2009 |
압력강하(드라이) |
100 mbar |
필터엘리먼트 교체주기 |
4,000 구동시간 또는 1년 또는 350 mbar pressure drop |
외관재질 |
주물 알루미늄 하우징 |
악세사리 |
압력강하 표시기 |
커넥션 |
G 3/8" |
확인 사항
1. ISO 8573-4는 압축공기내 Solid Particles(dust)의 단위체적당 개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정의한 국제표준입니다.
2. ISO 12500-3은 필터의 Solid Particle 여과 성능을 테스트하는 국제표준입니다.
3. 주물 알루미늄 하우징을 적용하여 내부식성 강화.
여기까지 공기품질등급 [파티클 1등급 : 수분 2등급 : 오일 0등급] 의 에어컴프레셔 구성 소개를 마치겠습니다.
다음에 다른 구성 소개를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3D 프린터 주변기기 전문 업체 IM3D에게 문의주세요~
언제나 친절한 상담으로 안내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홈페이지 문의는 하기 링크를 통해 가능합니다.
아이엠쓰리디 IM3D
KCs인증 방폭청소기 타이거백, HACCP인증 스팀진공청소기 블루에볼루션, 3D프린터 주변기기, 3D프린터 악세사리, 열처리기, 열처리로, 에어컴프레셔, 샌드블라스트, 집진기, AVR, 초음파세척기, 금속
www.im3d.co.kr
감사합니다.
031-360-3131